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부산광역시 동래구, 해운대구, 기장군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로, 1995년 기본 계획 수립 이후 2011년 3월 30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총 연장 12.0km이며, 14개 역(지하 8개, 반지하 1개, 지상 5개)을 운행한다. 한국의 도시 철도 노선 중 처음으로 안내 궤도식 철도를 채택했으며, K-AGT 기반의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가 무인 운전으로 운영된다. 건설 과정에서 문화재가 다수 발굴되어 완공이 지연되었으며, 개통 초기 잦은 고장과 안전 문제로 논란이 있었다. 기장, 일광, 당감, 영도 방면으로의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경전철운영사업소
    경전철운영사업소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유일의 지상역으로,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난간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안평기지간이역이 위치한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낙민역
    2011년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낙민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으로 운영되는 지하역으로, 주변에 동래경찰서, 낙민초등학교, 충렬사 등의 공공기관과 동래고등학교, 동래시장 등의 시설이 위치하며 동해선 동래역과 인접하여 환승이 용이하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총 6.9km, 7개의 역에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 계획 수립 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16년 개통되었으며,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2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한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4호선
고유 명칭4호선(4號線)
로마자 표기Sa Hoseon
한국 지하철 로고
한국 지하철 로고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로고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로고
부산 도시철도 4000호대 전동차
부산 도시철도 4000호대 전동차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망부산 도시철도
노선 상태운행 중
기점안평
종점미남
역 수14
노선 길이10.8 km
궤간1,700 mm
선로 수2
전철화 방식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운영 기관부산교통공사
차량 기지안평
사용 차량우진산전 EMU Class 4000
개통일2011년 3월 30일
보안 장치ATP/ATO
수송량24,847명 (2011년)
안내 궤도 방식안내 궤조식 철도 (경전철)
설계 최고 속도60 km/h
공식 웹사이트부산교통공사
운행 정보
노선 수1
역 목록
역 번호401
역 이름미남
역 번호402
역 이름동래
역 번호403
역 이름수안
역 번호404
역 이름낙민
역 번호405
역 이름충렬사
역 번호406
역 이름명장
역 번호407
역 이름서동
역 번호408
역 이름금사
역 번호409
역 이름반여농산물시장
역 번호410
역 이름석대
역 번호411
역 이름영산대
역 번호412
역 이름윗반송
역 번호413
역 이름고촌
역 번호414
역 이름안평

2. 역사

1995년: 최초 3호선 기본 계획 수립[10]

2003년 12월 3일: 2단계(당시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지선(반송선)) 미남~안평 구간 착공[5]

2009년 11월 11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지선(반송선)에서 부산 도시철도 4호선으로 분리[12]

2011년 3월 30일: 미남~안평 구간 개통[5]

3. 문화재 발굴

4호선은 한때 같은 노선으로 구분되었던 3호선에 비해 완공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이는 옛 동래읍을 지나는 노선 때문에 공사 현장에서 많은 문화재가 발견되었고 이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 오랜 시간이 걸렸기 때문이다. 가령 수안역 인근에서는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에만 남아 있었던 동래읍성 해자가 발굴되었고,[13][14] 안평차량사업소 인근에서는 삼국 시대 및 조선 시대 무논이 발견되었다.[15] 유물의 역사학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16] 전체적으로 공사 기간이 연장되는 원인이 되었다. 수안역 부지에서 발견된 유물들 중 일부는 수안역 내부의 "동래읍성임진왜란역사관"에서 전시되었다. 이 역사관은 2011년 1월 28일 문을 열었다.

4. 노선 정보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Suan
(Dongnaeeupseong Imjinwaeran History Museum)0.71.7동래구404낙민역Nangmin0.72.4● 동해선 (동래역)동래구405충렬사역
(안락)Chungnyeolsa
(Allak)0.73.1동래구406명장역Myeongjang0.73.8동래구407서동역Seo-dong1.04.8금정구408금사역Geumsa0.85.6금정구409반여농산물시장역Banyeo Agricultural Market0.86.4해운대구410석대역Seokdae1.27.6해운대구411영산대역
(아랫반송)Youngsan Univ.
(Araetbansong)1.49.0해운대구412윗반송역Witbansong1.110.1해운대구413고촌역
(실로암공원)Gochon
(Silloam Memorial Park)0.810.9기장군414안평역
(고촌주택단지)Anpyeong
(Gochon Housing Complex)1.112.0기장군


5. 차량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는 대한민국형 표준 경전철 모델인 K-AGT 기반의 부산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우진산전에서 제작하였으며, 고무 차륜을 사용한다. 중전철이나 철제차륜 경전철과 달리 제3궤조 콘크리트 도상에서 움직인다. 철제 차륜에 비해 가감속이 유리하고 소음, 진동이 적어 상대적으로 짧은 역간 간격이나 대도시의 도심에서 운행되기에 유리하다. K-AGT 설계는 1999년부터 시작되었고, 7년 만에 개발이 완료되어 경부선 경산시 구간에 있는 시험선에서 운행 시험을 마쳤다.[4] 기존 부산 도시철도 전동차의 중량은 20~25톤/량, 최고속력은 80km인 데 반해 경전철은 중량이 12톤/량이고 최고속력은 70km 정도이다. 빠른 가감속으로 시격을 낮출 수 있어 러시아워(RH)때는 90초에 한 번을 운행할 수 있다. 4호선 전동차는 대한민국 최초의 3궤조 방식 전동차이다. 따라서 상단부에는 팬터그래프가 없으며, 차체 역시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이다. 기관사 없이 무인 운전으로 운행되며, 폐쇄된 운전실 없이 차량 앞뒤가 열려 있어서 근처 경치를 자유롭게 볼 수 있다.

항목내용
편성6량 1편성 (17편성, 102량)
크기차체길이 9140mm / 차체폭 2400mm
조성6M (전량 동력차)
구성MC - M - M - M - M - MC (MC: 운전실이 있는 동력차 / M: 동력차)
급전 방식제 3궤조 방식 (팬터그래프 없이 전동차 하부에서 급전)
제작사우진산전


6. 비상시 주의사항

터널 내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 하차 시 감전될 위험이 있다.

7. 역 목록

(광혜병원)Minam3호선-0.0동래구402동래Dongnae1호선1.01.0403수안
(동래읍성임진왜란역사관·힘찬병원)Suan0.71.7404낙민Nangmin0.72.4405충렬사
(안락·부산항운병원)Chungnyeolsa0.73.1406명장Myeongjang0.73.8407서동Seo-dong1.04.8금정구408금사Geumsa0.85.6409반여농산물시장Banyeo Agricultural Market0.86.4해운대구410석대Seokdae1.27.6411영산대
(아랫반송)Youngsan Univ.1.49.0412윗반송Witbansong1.110.1413고촌Gochon0.810.9기장군414안평
(고촌주택단지)Anpyeong1.112.0

8. 연장 계획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연장 계획으로는 기장 연장, 일광 연장, 당감·영도 연장 등이 논의되고 있다.

4호선 기장 연장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서 동해선 기장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으로, 반송로를 따라 기장읍 내로 연결하는 노선이다. 그러나 수요와 지형 문제, 부산시 재정 여건 등으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었다.[22] 기장군은 노선을 수정하여 경제성을 높였고,[23] 부산시는 2013년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24]

4호선 일광 연장은 기장군이 교리역에서 일광신도시 인근 일광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이나,[25] 동해선과 노선이 거의 겹쳐 장기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4호선 당감·영도 연장은 2016년 백지화된 초읍경전철 계획을 대체하는 것으로, 미남역에서 사직운동장, 초읍동 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시민공원, 부암동, 당감동, 부산항여객터미널을 거쳐 영도까지 연장하는 방안이다.[26] 너무 긴 구간을 한 번에 연결하기는 어려워, 초읍/당감 방면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의대역까지 환승 연결하는 방안이 우선 검토되고 있다.

8. 1. 기장 연장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안평리에서 동해선 기장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는 국도 제14호선 (반송로)을 따라 만화리 등을 거쳐 기장읍 내로 연결하는 노선이다. 그러나 안평-기장읍 구간은 수요가 적고 지형상의 문제로 인해 부산시 재정 여건상 부산 도시철도 건설 우선순위에서 밀려있다.[22] 이후 기장군은 교리 지역에 편중되었던 노선을 기장읍 시가지를 통과하도록 수정하여 경제성을 높였으며,[23] 부산시는 기장선을 2013년 상반기 부산 도시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24]

또한, 기장군은 교리역에서 일광신도시 인근 일광역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25] 하지만 이 노선은 동해선과 거의 겹치기 때문에 장기적인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8. 2. 일광 연장

부산광역시 기장군은 기존 기장 연장인 교리역에 이어 일광신도시 근처 일광역까지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25] 그러나 동해선과 거의 일치하는 문제 때문에 장기적 추진 노선으로 미루어졌다.

8. 3. 당감, 영도 연장

2016년 운영사의 운영 포기로 백지화된 초읍경전철 계획을 대체하는 것으로,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을 미남역에서 사직운동장, 초읍동 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시민공원, 부암동, 당감동, 부산항여객터미널을 거쳐 영도까지 연장하는 방안이다.[26] 하지만 너무 긴 구간을 한 번에 연결하기 어려우므로 일단 초읍/당감 방면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의대역까지 환승 연결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는 것 같다.

9. 사고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은 대한민국 최초로 무인 시스템을 실제로 적용한 경전철[27] 이어서, 이에 대한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실제로 4호선이 개통된 이후로 거의 매일 고장이 나기도 하였다.[28] 또한 사고가 일어날 때마다, 교통공사는 사고와 관련하여 적극적인 공지를 하지 않아 노조의 반발을 샀다. 결국 부산교통공사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 대해 한시적으로 무인운전에서 유인운전으로 전환하였지만,[29] 이는 무인운전을 기초로 한 일시적인 안정화 작업이었기 때문에, 논란은 계속되었다. 2011년 6월에도 4호선 전 구간 운행 중단 사태가 재발하는 등 사고가 속출하자,[30] 부산지하철 노조와 부산 경실련 등 부산지역 시민단체에서는 부산 4호선에 관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그러나 부산교통공사가 불성실한 태도로 일관하여, 토론회는 원활하지 못하였다.[31] 2011년 8월 13일에는 미남역의 선로전환기 고장으로 1시간 10분 동안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32]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는 4호선 안정화 대책을 9월까지 연장하기로 발표하였으며 9월 실적에 따라 10월부터 완전 무인운전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33] 2011년 10월부터 안전운행요원을 역사로 전환배치를 하였는데, 공사는 2011년 10월 한 달 동안 5분 이상 운행이 지연되는 중대한 장애가 없었다고 언급하였다. 총 6건의 출동이 있었는데, 그 중 한 건은 안평역에서 한 승객이 비상열림장치를 잘못 만져 3분 동안 운행이 지연된 것이다. 나머지 5건은 열차 내 LCD 표시 불량(10월 6일 반여농산물시장역), 열차 안내방송 먹통(2011년 10월 7일 서동역), 출입문 닫힘 장애(2011년 10월 8일) 등 사소한 장애로 나타났다.[34]

참조

[1] 뉴스 '국내 첫 무인경전철' 부산도시철도 4호선 개통 http://news.naver.co[...] 2011-03-30
[2] 웹사이트 사업개요 http://www.subway.bu[...] 2010-03-14
[3] 웹사이트 반송선<도시철도 3호선 2단계>, 문화재에 발목잡히나 http://www.kookje.co[...] 2010-03-28
[4] 웹사이트 (untitled) http://www.wjis.co.k[...] 2015-10-19
[5] 웹사이트 釜山交通公社の紹介>沿革 https://www.humetro.[...]
[6] 저널 부산 도시철도 3호선 2단계 경량전철시스템 2009-02-00
[7] 간행물 부산 도시철도 3호선(2단계) 기본계획 변경 국토해양부 2011-00-00 #날짜 정보 부족
[8] 문서 대한민국 최초의 경전철 시스템인 인천국제공항공사 셔틀트레인은 일반 대중을 상대로 운용하는 시설이 아닌 특수 목적용이며, 일부 항공사 탑승객 및 직원만 이용할 수 있으며 법적으로는 삭도이다.
[9] 웹사이트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운영 체계와 노선 계통이 달라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에서는 4호선으로 명명하여 별도 노선으로 구분하였다. 현재 부산 도시철도 조례에는 중앙선, 동서선, 아시아드선, 반송선이 올라가 있는 상태이다. http://voc.subway.bu[...]
[10] 웹사이트 한국개발연구원 http://epic.kdi.re.k[...] 2009-04-10
[11] 웹사이트 부산교통공사의 고객의 소리 질문 내용 중 답변 http://voc.humetro.b[...]
[12] 뉴스 부산·경남 - 지하철 3호선 반송선… 4호선으로 이름 바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11-12
[13] 간행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수안정차장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 http://gicp.or.kr/eb[...] 경남문화재연구원 2007-12-11
[14] 웹사이트 KBS 역사추적 제9회: 조선판 킬링필드, 동래성에 무슨 일이 있었나? http://www.kbs.co.kr[...]
[15] 간행물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건설부지내 유적(안평차량기지) 현장설명회 자료 http://gicp.or.kr/eb[...] 경남문화재연구원 2007-07-05
[16] 뉴스 반송선<도시철도 3호선 2단계>, 문화재에 발목잡히나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5-07-14
[17] 문서 무인운전, 무역장, 무인매표소, 무역무원, 무분소 등의 5무 정책이다.
[18] 뉴스 반송선 무인경전철 시대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9-04-07
[19] 뉴스 기장군, 도시철도 기장선의 지상고가 피해 논란 http://www.newstown.[...]
[20] 뉴스 도시철도 4호선 '반송' 역 이름 결정 진통 겪나 http://news20.busan.[...] 2010-01-25
[21] 뉴스 부산교통공사,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역명 결정 http://media.daum.ne[...] 2010-02-25
[22] 뉴스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3] 뉴스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4] 뉴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5] 뉴스 기사 https://news.naver.c[...]
[26] 뉴스 http://m.busan.com/m[...] 부산일보
[27] 문서 서울 지하철 5호선도 무인 운전이 가능하지만 시운전을 제외하면 실제 적용은 하지 않았다.
[28] 뉴스 부산 지하철 고장 사고로 인해 안전성 논란…닷새 동안 4회 사고 발생 http://www.ajnews.co[...]
[29] 뉴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또 고장…결국 '무인→유인' 전환 http://www.nocutnews[...]
[30] 뉴스 부산 지하철 4호선 또 다시 전 구간 운행중단…안전운전 포기? http://www.dipts.com[...]
[31] 뉴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안전 토론회 '반쪽' https://news.naver.c[...]
[32] 뉴스 도시철도 4호선, 1시간 전면 운행 중단 https://news.naver.c[...]
[33] 뉴스 부산교통공사, 4호선 안정화대책 9월까지 연장 https://news.naver.c[...]
[34] 뉴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완전무인화 한달 '순항중' https://news.naver.c[...]
[35]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36]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37]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https://www.data.go.[...]
[37]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38]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http://www.yooshin.c[...]
[38] 웹사이트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s://mapcarta.com[...]
[3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http://its.busan.go.[...]
[39] 웹사이트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s://www.bisco.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